본문내용 바로가기

Foundation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예방 활동

당사는 공정거래 및 부정경쟁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CP(공정거래자율준수)운영팀을 신설하고, ISO37301(준법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예방 활동을 위해 공정거래자율준수 편람을 제정 및 자율준수관리자를 선임하였으며, 분쟁조정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습니다.

고위험 대상부서(영업, 구매, 인사)를 대상으로 불공정거래 및 부정경쟁 행위에 대해 자가점검(Self-Checklist)을 실시함으로써 관련 법위반 사례를 예방 및

점검하였습니다. 또한, 신입사원, 영업·구매 부서 및 임원을 포함한 총 127명을 대상으로 CP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해당 활동을 통해 2024년 기준 불공정거래 및 부정경쟁과 관련된 위반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향후에도 위험요소 완화조치의 효과성 평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태광산업은 『윤리규정』, 『윤리경영 행동강령』에 따라 금품 및 향응 등을 수수하는 행위를 명문화하여 금지, 예방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물반송 상담 및 신고센터'의 운영을 통해 불공정한 업무수행, 금품·향응·편의, 부당한 업무처리, 기타 부정·비리 등의 불공정거래 및 부정경쟁 관련 행위를 예방, 조치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와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명절(설·추석) 윤리서한문’ 발송을 통해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예방 활동의 전파 및 적절한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FY2024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관련 위험 완화 조치의 효과성 평가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건수 0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관련 벌금 및 합의금 0
하도급거래 관련 법규 위반 건수 0

※ 2024년 선물반송 상담/신고 접수 9건, 처리 9건 (처리비율 100%)

※ 2024년 윤리서한문 발송 총 1,604건 (설 명절 788건, 추석 명절 816건)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명절 윤리서한문 발송 1,370 1,378 788
추석 1,529 1,044 816



불공정거래, 부정경쟁 관련 교육 실시

태광산업은 '윤리스쿨'을 통해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불공정거래와 공정경쟁 등을 포함한 윤리경영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교육플랫폼을 통해 공정경쟁 관련 온라인 강의를 자율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습니다.


※ 2024년 교육 대상 임직원 940명

※ 2024년 교육 받은 임직원 940명 (수강률 100%)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공정거래/공정 경쟁 교육 교육 대상 임직원 1,227 984 940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2024년, 공정거래 관련 고위험 직군(영업, 구매)과 임원을 대상으로 외부강사 및 내부 담당자를 통해 별도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 2024년 고위험 직군(영업, 구매) 대상 공정거래법, 하도급법 관련 교육 실시 : 1회/년

※ 2024년 임원 대상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 관련 교육 실시 : 1회/년




재무적, 비재무적 지원 프로그램

상생펀드 운영

태광산업은 신한은행과 ‘협력사 금융지원을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여 100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하였습니다. 해당 펀드를 통해 협력사 및 중소기업에 저금리의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상생펀드 금액 80억 원 지원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상생펀드 금액 억 원 33 92 80



명절 하도급 납품대금 조기지급

중·소 협력사의 원활한 명절 자금 운용 지원 및 상생 협력을 위해 납품대금을 조기지급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설 명절 하도급 납품대금 조기지급 13억 원

※ 2024년 추석 명절 하도급 납품대금 조기지급 6억 원







협력업체 불만처리 프로세스 운영 현황

고객의소리

고객의 소리는 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거래관계 유무나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협력사의 다양한 고충 및 의견, 태광산업㈜ 제품, 품질, 서비스 등에 대하여 어떠한 내용의 문의도 가능합니다.


태광산업 홈페이지 내 ‘회사소개‘-’고객의 소리’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 2024년 협력사 고충 접수 61건

※ 2024년 협력사 고충 처리 54건 (처리율 88%)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고객의 소리 운영 현황 총 접수 건 수 79 53 61
총 처리 건 수 68 47 54
처리율 % 86 89 88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기업의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인권, 환경, 안전 등의 이슈로 인해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공급망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습니다.

태광산업은 가치 사슬 전반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고, 협력사와의 동반성장 및 상생을 위해 협력사 행동규범을 제정, 공개하여 협력사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 태광산업 협력업체 행동규범
첨부파일 태광산업 공급망 지속가능경영 정책





협력업체 ESG 지원프로그램 운영 현황

협력사의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사회적 책임 이행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ESG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희망하는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ESG 대면 교육을 1회 실시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참여 대상을 확대하여 보다 많은 협력업체가 ESG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역사회 정책

태광산업은 『윤리경영 행동강령』을 통해 국가 및 지역사회 참여 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지역사회 참여 중장기 목표

태광산업은 ‘기업이익의 사회환원'이라는 기업이념을 성실히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공익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봉사회, 장학·학술지원, 문화·예술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를 향한 따뜻한 사회공헌 활동을 실천하겠습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FY2025(계획) FY2026(계획) FY2027(계획)
사회공헌
활동
사회공헌 활동 참여 시간 시간 575 3,880 935 3,958 3,998 3,998
사회공헌 활동 비용 백만 원 74 109 109 111 112 112






지역사회 상생 활동

태광산업은 ‘기업이익의 사회환원'이라는 기업이념을 성실히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공익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봉사회, 장학·학술지원, 문화·예술지원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를 향한 따뜻한 사회공헌 활동을 실천하겠습니다.


구분 내용
태광산업
봉사회
· 태광산업의 임직원들은 서울, 부산, 울산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봉사활동 중
· 청계천, 울산 태화강, 부산 을숙도, 양산 회야천 등 환경정화봉사활동 및 독거어르신을 위한 경로잔치, 사랑의 집수리 활동 등을 진행 중
장학·학술
지원
일주학술문화재단 및 일주세화학원의 후원을 통한 장학·학술 사업 지원
· 일주학술문화재단 : 1990년 창립, 총 289억원 규모의 목적사업 수행 중
· 일주세화학원 : 1977년에 설립 (세화여고, 세화여중, 세화고)
문화·예술
지원
세화재단 후원을 통한 문화·예술 사업 지원
· 세화예술문화재단 : 2010년 설립, 문화예술 교류, 창작지원, 심포지엄 개최 등
· 세화미미술관, 씨네큐브 광화문을 통해 문화 사업 지원
기타
상생 활동
· 아동보호시설 그룹홈 후원, 행복나무 플러스합창단 후원을 통한 지원 사업 중



친환경 사회공헌 활동 실적

울산 민간자율환경순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하천 주변의 환경상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여천동 소재의 석유화학1공장과 석유화학2공장은


여천·매암지역의 자율환경 순찰에 참여하고 있고, 선암동 소재의 석유화학3공장과 울산공장은 용연·용잠 지역의 환경순찰에 참여합니다.


여천·매암 지역 총 7회, 용연·용잠 지역 총 15회 참여하였습니다.







지역사회 상생 활동 성과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그룹홈 지원 금액 백만 원 55 54 52
참여 인원 1,406 1,307 1,290
행복나무 플러스 합창단 후원 금액 백만 원 15 15 15
후원 횟수 1 1 1




지역사회 영향 파악 및 관리 활동

당사는 사업활동으로 인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예방 및 완화 조치를 적극 이행하고 있습니다.

① 위험 식별 : 사업장 인근 지역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통해 수질오염, 대기오염, 온실가스 배출 및 폐기물 배출, 총 4개의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였습니다.

② 완화 조치 : 환경 오염물질 관리 및 방지를 위한 설비 구축, 전 사업장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지표 모니터링 및 개선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 심사 및 경영 검토를 통해 개선 효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③ 효과성 평가 : 주요 환경오염물질(수질, 대기, 온실가스, 폐기물 등)의 배출량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위험 완화 조치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수질오염(TOC, BOD), 대기오염(SOx, 먼지), 온실가스 배출량, 폐기물 발생량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환경오염물질
발생·배출 현황
수질오염지표 TOC 96.37 54.71 60.74
BOD 20.55 14.59 8.93
대기오염지표 황산화물(SOx) 12.48 0.00 2.64
먼지 10.30 9.44 6.80
온실가스 배출량 tCO2-e 983,130 934,104 883,146
폐기물 발생량 22,457 17,669 16,549


*TOC(Total Organic Carbon, 총유기탄소) : 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유기물의 탄소 성분을 정량화한 지표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소비하는 산소량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 Scope1, Scope2 합산 기준

④ 공급업체 환경영향평가

공급망의 부정적 환경 영향 및 이에 대한 조치를 위해 당사의 협력업체 중 우선 평가대상업체를 선별하여, 정기평가를 통해

환경안전 등 총 4개 항목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평가 결과에 따라, 개선 권고 및 거래 중지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기 평가 및 사후관리 체계를 통해, 공급망의 환경적

책임 수준을 지속적으로 점검·강화하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평가실시 대상 협력업체 신규업체 10 - -
기존업체 137 76 74
부적합/개선 권고 - - -
고위험/거래 중지 - - -

*평가 업체 기준(거래금액) : '22년 연간 3천만원 이상 / '23년&'24년 연간 1억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