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Foundation




안전보건경영 정책

안전·보건·환경(SHE) 경영방침



우리회사는 안전과 보건 및 환경을 최우선으로 하는 『SHE 경영』을 핵심 가치로 인식하고 전 직원이 스스로 안전·보건·환경 개선 활동에 참여하는 성숙한 기업문화를 구축한다.



1. 안전·보건·환경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여 사고 예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2. 작업·공정 중심의 위험성 평가로 자기규율 예방 체계를 확립한다.

3. 오염물질·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활동으로 친환경 사업장을 구축한다.

4. 임직원 스스로 유해·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성숙한 자율안전문화를 조성한다.




태광산업
대표이사 오 용 근
대표이사 정 안 식











안전보건경영 중장기 목표


안전보건경영 전략

태광산업은 "안전최우선 경영"을 기업의 기반이자 성장 과제로 선정하여, 전사적으로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안전보건 체계를 달성한다. 법규 준수 및 선제적 사고 예방활동을 통해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임직원과의 신뢰와 지지속에 이해관계자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행복에 기여한다.

2025년 안전보건 경영목표
전 계열사 자율 안전보건 문화 확립, 리스크 예방 중심 프로세스 정착 및 운영 내재화

중장기 목표
2025년 안전보건관리체계 강화 2026년 ~ 2028년
자율 안전보건 문화 확립
2029년 ~ 2030년
글로벌 안전보건 시스템 확립
핵심과제
· 전부서 SHE KPI 확대

· 현장점검 등 안전점건 확대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

· 안전캠페인을 통한 종사자 참여 확대
· 위험성평가 시스템 강화

· 협력업체 안전관리를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참여형 안전 활동 확대를 통한 안전 의식 강화

· 자발적 리스크 개선프로세스 구축 및 유해·위험요소 개선율 90%↑
· 글로벌 SHE 경영시스템 유지 및 관리

·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

· 종사자 자발적 안전 활동 참여를 통한 글로벌 안전의식 확립

· 중대재해 Zero & 산업재해율 0.1%↓






산업재해 지표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태광산업 임직원 업무 관련 상해로 인한 사망자 수 0 0 0
업무 관련 상해로 인한 중상자 수 2 3 1
총 사망건수 0 0 0
산업재해율 % 0.24 0.39 0.16
도수율(FR)1) Rate 1.00 1.62 0.65
근로손실재해율(LTIR)2) Rate 1.00 1.60 0.65
협력업체 근로자 업무 관련 상해로 인한 사망자 수 0 0 0
업무 관련 상해로 인한 중상자 수 1 2 2
총 사망건수 0 0 0
산업재해율 % 0.12 0.26 0.54
도수율(FR)1) Rate 0.50 1.08 2.26
근로손실재해율(LTIR)2) Rate 0.50 1.10 2.25

1) 도수율 : 재해건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000

2) 근로손실재해율 : 근로손실재해율 : 근로손실사고 발생건수 × 1,000,000 / 총 근로시간







협력업체 안전보건 확보

협력업체 안전보건 확보

· 태광산업은 도급업체 관리 지침 수립 및 협의체 구성을 통해 협력업체의 체계적인 안전·보건·환경관리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을 확보합니다.

· 도급업체 안전관리 협의회를 구성하여, 매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안전보건 관련 의견, 접수 및 조치, 안전 활동 방안을 모색합니다.

· 매분기별 합동 안전·보건점검을 실시하여, 태광산업 및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합니다. 또한, 협력업체에게 태광산업 사업장 내부의 위험요소 및 해당 요소의 영향에 대해 인지시키고, 비상조치계획(최악 및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 포함)의 제공 및 훈련을 실시합니다.





협력업체 안전보건 관리

협력업체 안전보건 확보

· 태광산업은 협력업체의 안전보건관리의 강화를 위해 협력 도급업체에 대한 도급업체 관리 지침, 평가기준 및 절차를 수립하였습니다.

· 지침 및 평가는 도급업체 선정의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적정 수준에 미달하는 업체의 경우 계약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매반기별 정기적 종합평가를 통해 중대재해처벌법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개선대책 수립, 현장 실행력을 확보하여 협력 도급업체의 안전보건관리 수준의 향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사업장별 협력 도급업체 임직원의 안전관리 및 이행능력을 평가하고 개선, 독려하기 위하여 우수 업체 및 직원을 선정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