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Foundation




임직원 현황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국내외 총 임직원 남성 1,007 837 796
여성 236 120 110
합계 1,243 957 906
국내외 직원 - 임원 남성 16 18 23
여성 0 2 1
합계 16 20 24
국내외 직원 - 정규직 남성 944 791 754
여성 230 112 107
합계 1,174 903 861
국내외 직원 - 비정규직1) 남성 47 28 19
여성 6 6 2
합계 53 34 21
국내외 직원 - 관리직2) 남성 86 80 76
여성 1 2 2
합계 87 82 78

1) 비정규직 : 계약직 근로자 (인턴 포함)

2) 관리직 : 팀장급 이상의 직책자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지역별 한국 1,243 957 906
한국 외 0 0 0





임직원 다양성

태광산업은 근로자 다양성3)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별다양성 진작을 위해 매년 점진적으로 여성 근로자 비율을 늘려갈 계획입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2025
목표
2026
목표
여성비율 여성 근로자 비율 % 19.0 13.0 12.0 12.0 12.0
여성 관리자 비율 % 1.1 2.4 2.6 3.8 3.8
여성 임원 비율 % 0.0 10.0 4.2 8.3 8.3
사회적 배려대상
현황 및 비율
장애인 근로자 수 16 12 13 14 14
장애인 근로자 비율 % 1.3 1.3 1.4 1.5 1.5
국가보훈자 수 11 11 10 10 10
국가보훈자 비율 % 0.9 1.1 1.1 1.1 1.1
기타 R&D 연구개발 인력 수 27 28 29 29 29
R&D 연구개발 인력 비율 % 2.2 2.9 3.2 3.2 3.2

* 근로자 다양성 : 성별, 장애여부, 국적, 연령, 지역, 학력, 성적지향 등과 관련한 사항

*여성 근로자/관리자/임원 비율 기준 : 총 근로자/관리자/임원 대비 여성 비율








채용 및 자발적 이직자 현황

인재를 기업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하고, 지속적인 고용 창출과 인력 유지에 힘쓰고 있습니다.

24년 신규채용 인력은 73명이며, 자발적 이직률은 8%입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국내외
신규채용
남성 120 79 69
여성 44 28 4
합계 164 107 73
신규채용 임직원 남성 비율 % 73 74 95
신규채용 임직원 여성 비율 % 27 26 5
연령별 채용현황
(정규직+비정규직)
30세 미만 53 49 33
30세 이상 50세 이하 68 43 18
50세 초과 43 15 22
지역인재 신규 채용 인원 0 0 0
자발적 이직자
(국내)
자발적 이직자 합계 190 98 71
자발적 이직률 % 15 10 8
성별 남성 138 81 61
여성 52 17 10
연령별 30세 미만 53 38 21
30세 이상 50세 미만 117 57 39
50세 이상 20 3 11

* 자발적 이직률 : 조직의 의사와 관계없이 개인의 판단하에 조직을 떠나는 것
(ex. 정년퇴직, 해고, 명예퇴직, 권고사직 등이 아닌 이직, 창업 등 개인적 사정으로 인한 퇴사)

자발적 이직률 : 자발적 이직자 / 총 인원






유연근무제 운영현황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유연근무제
참여임직원
합계 39 26 25
남성 23 17 14
여성 16 9 11

건강 및 복지 제도 프로그램 설명
유연한 근무시간 태광산업은 Smart출근제 도입을 통해 선택적 근무시간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녀양육, 가족돌봄, 임신 중 여성 근로자 및 해외 고객사 대응 영업인력의 안정적인 근로환경 조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여금 임직원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 감소와 각 가정의 경제적 안정 도모를 위해 주택자금, 자녀 학자금, 기타 경조사 지원금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법적 요구 사항 이상의
유급 출산휴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임신한 직원과 육아기 자녀를 둔 직원을 대상으로 1년의 육아기 단축근무제, 출산 후 최대 1년의 육아 휴직과 더불어 20일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출산 시 경조금 및 선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노동조합/노사위원회 운영현황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가입 인원 수 650 531 522
가입 비율 % 52 54 65
단체협약 적용 비율 (국내) % 100 100 100
노사위원회 시행 회수 4 4 4





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

태광산업은 구성원의 성장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안전보건 교육 교육 받은 임직원 832 773 637
교육 대상 임직원 832 773 637
반부패 교육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인권/성희롱
예방교육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임직원 인권 교육 시간 시간 3,681 2,952 2,820
공정거래/공정 경쟁
교육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정보 보안 교육 교육 받은 임직원 1,227 984 940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태광산업 총 교육 시간 시간 20,636 30,626 40,926
태광산업 1인당 교육 시간 시간/명 15 30 33
태광산업 총 교육 비용 만 원 33,000 45,000 39,000
태광산업 1인당 교육 비용 만 원/명 26 45 31

구분 내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운영 전용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여, 직급별 역할·역량 강화를 위한 8,400여개 과정의 온라인 강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 지원 제도 구성원의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 스킬 개발을 위해 어학 시험 응시 및 자격증 취득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더십교육 직책자 및 중간관리자(차~부장)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리더십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3년 : 총 4차수, 8일간 시행)
승진자교육 직급 변화에 따른 역할인식과 연계 역량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시행 (‘23년 : 총 2차수, 4일간 시행)
직무역량강화 교육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 스킬 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제공
어학교육 지원 사외 어학원과 협력을 통해 구성원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강의 수강료 지원






교육 프로그램 성과

태광산업은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를 위해 구성원의 안전·보건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최근 3개년 ('22~'24년) 동안 업무 관련 사망사고 '0건'을 달성하였으며,

임직원의 산업재해율은 '23년 0.39%에서 '24년 0.16%로 크게 개선되는 등 주요 안전 지표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FY2022 FY2023 FY2024
안전·보건 직무 교육 프로그램
(법정 의무교육 外)
교육 받은 임직원 18 44 24
교육 시간 시간 316 792 442
안전·보건 직무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총 사망건수 0 0 0
산업재해율 % 0.24 0.39 0.16